Experiment/Report

고등학생 전공 체험 (DPPH assay, TLC, 손 소독제 만들기)

Lavigne 2022. 7. 10.

준비 단계

 

앞쪽 Table

  • 카보폴
  • Wiper (휴지)
  • Glove
  • 비닐 쓰레기통
  • 전개용매(Ether:Acetone=9:1였는데 현재 바뀜)담긴 전개통
  • 향기 성분

1 Table 당

  • 주정 알코올 500mL 집기병
  • 막자사발 2개
  • Blue, White tip
  • Micropipette
  • 증류수 200mL 비커
  • 식물 잎
  • 글리세린

1인당

  • 스프레이형 손 소독제 병, 젤형 손 소독제 병 각 1개
  • 일회용 스포이드 1개
  • 시약스푼 1개
  • 100mL 플라스틱 비커
  • e-tube: DPPH 0.5mL 넣은 1.5mL e-tube, 빈 2mL e-tube (햇갈리는데 반대일수도 있음)
  • TLC plate (미리 세로로 길게 잘라 아래로 부터 1cm 위에 연필로 가로로 직선을 그어 놓는다)

DPPH 용액 (0.2mM)  제조

1) 20mM 제조: DPPH 분말 15.9mg을 재고 Conical tube(15ml tube)에 담은 후 MeOH 2mL 넣어준다.

2) 0.2mM 제조: 1)에서 만든 것을 100배 희석하여 준다. 1인당 1mL, 24명 기준으로 여유분 포함 25mL 제조

                          Conical tube(50mL tube)에 20mM DPPH 250uL + MeOH 24.75mL 넣어 만들어 준다. 

                          (만약 30mL 만든다면 20mM DPPH 300uL + MeOH 29.7mL) 

 

 

 

 

 

체험 1: 식물 색소 추출 및 TLC를 이용한 색소 분리 분석

 

1. 색소 추출

 

1) 주어진 식물의 잎 부분을 막자사발을 이용해 갈아준다.

2) 어느정도 갈려진 식물을 e-tube에 넣고 메탄올(MeOH) 1mL을 넣어준다.

3) Vortex를 이용하여 추출물과 추출액을 어느정도 혼합시켜 준다. (원래는 10 min이지만 적절하게 시간 조절)

4) Centrifuge (3,000 rpm, 5min)을 이용하여 상층액을 분리시켜 준다. (돌린 이후에는 섞이지 않게 수직으로 들어준다.)

 

2. TLC plate 위에 색소추출액 점적, 전개

 

1) White tip으로 추출액 상층액을 찍어 TLC plate위에 점적하여 준다

2) 연필로 그어놓은 선 위에 마르고 점적해주고 반복 약 20회 정도 해주면 된다.

3) 별도로 준비된 전개액 안에 TLC를 넣어 전개시켜 주고 대략 70% 정도 올라오면 UV light를 통해 색소 분리를 확인한다.

 

체험 2: 추출된 상층액의 항산화 효과 실험

 

1) 체험 1에서 만들어 놓은 추출액과 증류수 0.5mL을 각각의 e-tube DPPH 용액에 넣어준다.

2) DPPH는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면 색이 변하는데 추출액을 넣었을 때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3) 반면 증류수를 DPPH 용액에 넣으면 항산화효과가 없어 색 변화를 보여주지 않는다.

 

체험 3: 손 소독제 만들기

 

1) 200mL 비커를 준비하고 증류수 30mL, 주정 알콜 70mL을 넣어 70% 알콜 손 소독제를 만든다.

2) 보습 효과를 위해 글리세린을 일회용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한 번 넣어준다. 또는 피펫으로 1mL

3) 원하는 향기 성분(커피 or 바닐라)을 새 일회용 스포이드로 한 두 방울 정도 넣어준다.

4) 3)에서 만든 용액을 스프레이형 손 소독제 병에 넣어 하나 만든다.

5) 3)에 만든 용액에 카보폴을 스푼으로 2, 3번 정도 넣어 젤 형식으로 만들어 준고 젤형 손소독제 병에 넣어 만든다.

 

 

 

댓글